최근에는 미국의 실리콘밸리 은행(SVB)과 시그니처 은행이 각각 파산을 선언하면서 금융시장에서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실리콘밸리 은행은 미국 실리콘밸리 지역에서 스타트업들의 자금 지원에 큰 역할을 해왔으며, SVB의 파산은 스타트업 생태계에도 큰 충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SVB 파산의 원인
이번 실리콘 밸리 은행 파산의 원인은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먼저, 최근 미국 경제가 지속적인 인플레이션과 이에 따른 금리 인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 기관들은 이익을 올리기 위해 위험한 투자에 뛰어들게 되고, 실리콘 밸리 은행 역시 이러한 투자에 빠져 있었다.
또한, 최근 미국 증시에서는 기술주 중심으로 대형 IT 기업들의 주가 상승이 이어지면서, 실리콘 밸리 은행도 이러한 기업들에 대한 대출을 확대했다. 이는 대출 채권의 질이 낮아지는 결과를 낳았고, 대출 회수가 어려워지면서 실리콘 밸리 은행의 재무 상황이 악화되었다. 즉, 실리콘 밸리 은행 파산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대출 회수가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대량 예금 인출 사태(Bank Run)까지 생겼다. 이는 파산의 결정타 였다. 최근 미국 내 물가 상승률이 크게 증가하면서 시중 유동자금의 인플레이션과 이에 따른 대출금 이자율의 상승 등이 우려되었다. 이와 같은 미국 경제 상황이 은행 부실 위험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사실 실리콘 밸리 은행은 자산은 2018년 490억 달러, 2020년 1,020억 달러로 2배를 넘게 성장했었다. 심지어 2021년엔 코로나 기간 동안 제로금리로 인해 2021년도 말 실리콘 밸리 은행의 자산 규모는 1,892억 달러까지 증가한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뱅크런이 터지기 전 실리콘 밸리 은행이 스타트업에 대출을 해주고 남은 자산을 대부분 미국 국채에 투자를 했다는 점이 문제다. 이것이 실리콘 밸리 은행 파산의 주요한 원인이 되었다. 최근 국채 시장에서는 금리가 상승하고 있어, 국채 투자에 따른 손실이 발생하면서 실리콘 밸리 은행의 재무적인 상황이 악화된 것이다. 이런 상황에 대량 예금 인출 사태가 발생하니, 실리콘 밸리 은행은 예금을 인출해 줄 수 없고 결과적으로 파산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된 것이다.
정리하자면, 실리콘 밸리 은행은 스타트업들의 자금 지원을 전문으로 하는 은행으로, 미국 경제의 회복세와 함께 스타트업 분야에서 성장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뱅크런 사태로 대량 예금 인출을 받아 회수 불가능한 채권이 증가하면서 자본력이 부족해지고, 거기다 미국 국채에 가지고 있던 자산마저 모두 투자함으로 인해, 이에 따라 파산하게 되었다.
따라서, 실리콘 밸리 은행의 파산은 미국 경제의 인플레이션과 기준금리 인상, 그리고 스타트업 분야에서의 대출 부실 등과 연관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금융기관들이 적극적인 위험 관리와 대출 채권의 품질 관리가 필요해 보인다.
결론
이처럼, 실리콘 밸리 은행 파산은 여러 가지 요인의 복합적인 결과로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최근 미국 경제 상황과 금리 인상, 그리고 대출 회수의 어려움 등이 주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또한, 실리콘 밸리 은행이 국채에 전부 투자한 것은 파산 사태에 한층 더 기여한 것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 내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금융 시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미국 경제는 세계 경제의 중심지 중 하나이며, 미국 경제에 대한 불안감은 글로벌 경제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 이번 실리콘 밸리 은행 파산 사례는 선진국의 금융 시스템에 대한 안전성과 신뢰도를 다시 한번 묻게 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번 사례를 통해 금융 시장의 안정성과 투자 위험성에 대한 고민을 하고 적극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테크 > 경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 기준 금리에 대해서 (0) | 2023.04.03 |
---|---|
금리, 변동금리에 대해서 (0) | 2023.04.03 |
금리의 개념 (0) | 2023.04.03 |
이차전지 작동 원리에 대해서 (3) | 2023.04.01 |
이차전지의 개념과 역사 (0) | 202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