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들어가는 말

 암호화폐 시장에서 가장 유명한 디지털 화폐인 비트코인은 2009년에 출시되어 현재까지 이용되고 있는 디지털 화폐다. 비트코인은 중앙 관리 기관이 없이 분산 원장 시스템을 사용하여 거래 기록을 유지하며, 디지털 서명 및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안전한 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2017년 8월 비트코인은 하드포크를 통해 둘로 쪼개졌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트코인의 개념, 원리, 그리고 이 분기 이유를 알아보겠다.

비트코인의 개념과 원리

 비트코인은 중앙 집중적인 기관 없이 인터넷 상에서 거래되는 디지털 화폐다. 비트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거래 정보를 기록하고, 디지털 서명을 통해 거래의 안전성을 보장한다. 블록체인은 거래 기록이 중앙 집중적으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P2P 네트워크에 분산 저장된다. 이러한 분산 저장 방식은 전체 네트워크에서 신뢰성을 보장하며, 거래 기록을 불변하게 만든다. 디지털 서명은 각 거래가 본인의 소유물인지를 확인하고, 해당 거래가 인증된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초기 비트코인이 블록을 생성할 때 걸리는 시간은 10분이었다. 또한 비트코인의 핵심은 투명성과 보안이었기에 블록의 용량도 1MB로 제한했다. 이 용량으로 아무리 빨라도 초당 2~3건의 거래를 처리하는게 전부였다. 문제는 비트코인이 실제적으로 거래되면서 들어났다. 실제 금융 거래에 2~3초라는 시간은 너무나도 긴 시간이었던 것이다. 심지어 거래를 빨리 진행하려면 높은 수수료를 지불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마디로 실제 금융 거래에서 사용되기에 너무나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던 것이다. 

 

비트코인의 분기 이유

 결국 2017년 8월 비트코인은 하드포크를 통해 둘로 쪼개졌다. 이는 비트코인의 스케일링 문제와 관련이 있다. 비트코인은 블록체인 크기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거래 수가 제한된다. 이러한 스케일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트코인 코어 팀은 Segregated Witness(SegWit)를 도입했다. SegWit는 블록체인 크기를 줄이고, 블록 크기를 늘려서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거래 수를 늘리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에 반대하는 비트코인 캐시 팀은 SegWit 대신 블록체인 크기를 늘리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이에 대한 논쟁이 있었고, 결국 비트코인 캐시 팀은 하드포크를 통해 비트코인 블록체인에서 분리되어 새로운 디지털 화폐인 비트코인 캐시를 만들었다.

 이 분기는 비트코인 사용자들 사이에서 큰 논란을 일으켰다. 분기 이후에는 비트코인과 비트코인 캐시 간의 경쟁이 이어졌고, 둘 중 어떤 디지털 화폐가 미래에 더 많은 인기를 끌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이어졌다.

 

결론

 비트코인은 인터넷 상에서 거래되는 디지털 화폐로, 분산 원장 시스템을 사용하여 거래 정보를 유지하며 디지털 서명과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거래의 안전성을 보장한다. 2017 8 비트코인은 스케일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egWit 기술을 도입하였으나, 이에 반대하는 비트코인 캐시 팀은 블록체인 크기를 늘리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결국 둘은 갈라섰고 암호화폐 시장에 비트코인과 비트코인 캐시가 생겼다.

 그러나 현재 2023년 기준 승자는 기존의 비트코인팀이다. 왜냐하면 여전히 코인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은 여전히 비트코인이 차지하고 있다. 심지어 비트코인 캐시팀이 선택한 블록체인의 크기를 키우는 것보다 블록체인의 크기는 줄이되 블록 자체의 크기를 키워 처리할 수 있는 거래의 양을 많게 한 것이 승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비트코인은 1코인에 3천 8백만원 선에서 거래 되고 있다. 그러나 비트코인 캐시는 16만원 선이다. 물론 암호화폐를 실제 화폐의 가치로 환산한 것이 전부를 말한다고 할 순 없지만, 현실에서 사람들이 관심 갖고 더 소유하려고 하는 것은 비트코인이란 것은 명확해 보인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