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들어가는 말

 삼성전자는 세계에서 가장 큰 반도체 제조사 중 하나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특히, 메모리와 시스템 LSI, 파운드리 등의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한다. 이 중에서 메모리와 시스템 LSI, 파운드리에 대해 전문적이면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살펴보겠다.
 

 삼성전자 반도체

 삼성전자는 반도체 제조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다. 메모리, 시스템 LSI, 파운드리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큰 반도체 제조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 분야에서 메모리와 시스템 LSI, 파운드리에 대해 살펴보겠다.
 

 

메모리

 메모리는 컴퓨터 등의 전자 제품에서 중요한 부품 중 하나로, 데이터 저장 및 처리에 사용된다. 삼성전자는 DRAM과 NAND Flash를 생산하여 전 세계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DRAM은 주로 PC, 서버, 모바일 등에서 사용되며, NAND Flash는 스마트폰, SSD 등에서 사용된다. 삼성전자는 기존의 메모리 기술을 발전시켜 더욱 높은 용량과 속도를 제공하며, 경쟁사들과의 격차를 좁히는 노력을 하고 있다.
 

시스템 LSI

 시스템 LSI는 다양한 전자 제품의 핵심 부품 중 하나로, CPU, GPU, 모바일 AP 등의 칩을 생산한다. 삼성전자는 Exynos 브랜드로 불리는 모바일 AP를 생산하며, 전 세계에서 많은 모바일 제조사들이 삼성전자의 모바일 AP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자율주행 자동차, 인공지능 등의 분야에서도 시스템 LSI를 활용하여 새로운 기술과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파운드리

 파운드리는 다른 기업의 반도체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다. 이는 IDM과 구분된다. IDM은 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의 약자로, 자체적으로 디자인한 반도체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를 의미한다.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분야에서도 글로벌 리더다. 현재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 부문은 미국의 인텔과 대등한 위치에 있다. 이는 삼성전자가 경쟁 업체들보다 더 높은 기술력과 생산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의 가장 큰 장점은 고객사의 요구사항에 맞춰 빠르고 정확한 반도체 생산을 가능케 한다는 점이다. 또한, 경쟁 업체들보다 더 높은 생산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량 생산에 용이하다.
 그러나 파운드리 사업의 단점으로는 초기 투자 비용이 매우 크다는 것이 있다. 반도체 생산 공정에서 필요한 설비, 인력 등의 초기 투자 비용은 매우 높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많은 투자와 기술력이 필요한 것이다.
 

결론

 결론적으로,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사업은 글로벌 리더로서 높은 기술력과 생산 능력을 바탕으로 고객사의 요구사항에 빠르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업체이다. 하지만 초기 투자 비용이 크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더욱 발전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오늘은 글쓴이가 투자하고 있는 삼성전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반도체 시장이 불안하고 메모리 반도체에서 강한 삼성이 위험해 보이는 것은 사실이나 삼성이라는 대기업이 쉽게 무너질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글을 보면 알겠지만, 삼성은 메모리를 넣어 다른 부분에도 열심을 다하고 있으며, 그동안의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해 왔으며, 그 저력과 노하우가 살아 있기에 세계 경제가 침체하고 미국과 중국이 자국 반도체를  키우려는 이 시점에서는 위험해 보일 수 있으나 그후 더 먼 미래는 분명 밝을 것이라 예상한다.

 

 


 혹자는 이는 글쓴이의 희망이다. 물론 세계 경제 흐름 속에서 그동안 삼성이 보여준 성과가 있다. 그렇기에 한 번더 발전할 가능성을 믿고 싶다. 그러나 문제는 현재 삼성 전자의 23년도 1분기 영업실적에서 알 수 있듯 너무 심각한 상황이란 것이다.
18년도까지만 해도 58.8조의 영업 이익을 보여주았던 기업이 현재 1분기이지만 0.6조라는 처참한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필자는 삼성전자를 믿지만, 주식 투자는 개인의 판단이기에 책임을 질 각오가 되었다면 투자 하시고 책임딜 수 없다면, 투자를 재고 하길 바란다.

이런 여러 상황 속에서 삼성전자는 결국 반도체에 대해서 감산을 결정했다. 그러나 그동안 그리고 장기적 미래의 시각으로 반도체 부분에 대해서 조금씩 살펴보고자 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